1. Wireless Charger
- 무선 충전기. 전자기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방식.
- 케이블 없이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이용해 수신 코일에 전력을 유도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
선정 이유: 소형 기기의 무선 충전기 뿐만 아니라, 차량용 무선 충전기도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발달할 것이라 생각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2. IoT - Wearable Devices – health care…
- 사람의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 통신 등 여러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다양한 장치들을 의미.
- 스마트 워치, 무선 이어폰, 스마트 글라스 등.
-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이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변화 정보(움직임, 생체 신호 등)와 사용자의 주변 환경(온도, 습도) 정보를 사용자 또는 IoT에 명령을 통해 전달하여 적절한 행동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이다.
- 혈당을 감지하는 생체 센서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혈당 수치가 증가하게 되면 자동으로 고혈당 약을 주입할 수 있는 그래핀 기반의 스마트 패치가 개발되었다
선정 이유: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활용하여 수집된 체온·혈압 등의 인체정보와 주변 상황을 인지하여 수집된 위치정보와 같은 개인정보의 활용은 의료, 건강관리, 엔터테인먼트 등 개인 활동과 밀접한 산업분야 간의 융합을 촉진시키나, 그만큼 보안에 대한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3. Bluetooth – BLE(IoT) or NFC or WiFi
- Bluetooth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ISM 대역을 사용하여 기기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 BLE(Bluetooth Low Energy)란 Bluetooth 4.0 이후의 버전으로(3.0까지는 Bluetooth Classic) 배터리 소모를 줄여 스마트 밴드, 워치, 비콘(Beacon) 등에 적용되는 기술.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약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비접촉식 무선 통신 기술. Bluetooth와는 달리 기기 간 연결이 불필요하다.
- WiFi는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을 사용하여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선정 이유: 요즘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찾아보기가 더 어려울 정도인데 중국의 저렴한 제품들 같은 경우, 보안에 취약하여 쉽게 개인정보가 탈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산업 분야와 결합하여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할 것이라 생각하며 잇따를 보안 위협에 대해 알아보고 싶다.
4. AI – GenAI - Deep fake - face recognition….
- GenAI(Generative AI, 생성형 AI)란 기존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을 의미.
- DeepFake란 인공지능, 특히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미디어를 만들어내는 기술을 의미.
- Face Recognition이란 디지털 이미지나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 특징을 분석하여 개인을 식별하거나 확인하는 생체 인식 기술을 의미.
선정 이유: 패스워드, 지문 인식을 지나 이제 얼굴 인식을 통한 로그인 기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금융 서비스나 공항에서 출입국 심사 시에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딥페이크 기술과 융합하여 악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이를 탐지하기 위한 연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5. De-identification
- 개인정보 비식별화(가명화)란 데이터 셋에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요소를 전부 또는 일부 삭제하거나 대체하는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과정.
- Anonymization(익명화)는 one-way De-identification 방법을 의미
- Pseudonymization(가명화)은 개인식별정보를 제거하고, 임의의 코드나 번호(Pseudonym; 가명)를 부여한 것을 의미
선정 이유: 개인정보보호는 디지털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데이터 유출, 해킹, 감시 등의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 기업, 그리고 학계 모두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비식별화(de-identification) 기술 및 방법에 관한 연구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실용적 문제 해결뿐 아니라, 정책 및 사회적 논의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개인정보 비식별화
비식별화(De-identification)비식별화란 정보집합물(데이터 셋)에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요소를 전부 또는 일부삭제하거나 대체하는 등의 방법을 활용,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과정. (Single
www.cisp.or.kr
출처
1.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339
2. https://ieeexplore.ieee.org/stamp/stamp.jsp?tp=&arnumber=10198233
3.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604
4. https://www.yna.co.kr/view/AKR20241217039651017
5. https://www.usenix.org/system/files/usenixsecurity23-nan.pdf
6. https://www.etnews.com/20240711000221
7. https://www.mk.co.kr/news/it/11097098
8. https://munhwa.com/news/view.html?no=2024031401072409287001
'tracker >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센서 종류 (2) | 2025.03.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