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무료] 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 훈지손 - 인프런
훈지손 | 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강의입니다. 강의를 따라하다보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실력이 늘어가는 강의를 추구합니다., 초보자 눈높이에 딱 맞춘, 원리를 이해하는 디지털
www.inflearn.com
해당 영상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바로가기(.LNK) 개념 및 실습
• 'Windows Shortcut’으로도 불림
• .lnk 확장자를 가짐 (link file)
생성하는 방법
• 사용자가 직접 생성 (우 클릭..)
• 프로그램 설치 시에 생성 (빠른 실행에 추가.. 시작 화면에 추가...)
•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생성
바로가기 파일이 생성되는 경로들
바탕 화면
대부분은 바탕화면에 위치
%UserProfile%\Desktop
%UserProfile% == C:\Users\kimna
시작 메뉴
%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
%ProgramData% == C:\ProgramData
최근 실행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
빠른 실행
작업표시줄 관련하여...
(빠른 실행이라는 메뉴를 제공하던 시절이 있었음...)
%Program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User Pinned\TaskBar
# 작업 표시줄에 고정했을 때 여기에 추가됨
FTK Imager 이용하여 추출
• %UserProfile%\Desktop ( C:\Users\kimna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
LECmd 이용하여 분석
LECmd 1.5.0.0 다운로드
MDwiki
ericzimmerman.github.io
(1) FTK Imager 이용하여 추출
바탕화면에 파일 하나 생성 (파일명 : lnk_Jumplist)
아래 경로의 바로가기 파일 추출
%UserProfile%\Desktop
설치 후 lnk_Jumplist 파일로 다운받은 파일 압축 해제
# 다운받은 파일이 CLI 파일이라 콘솔을 통해 실행을 해야함
(2) 콘솔로 실행
.\LECmd.exe
(3) 사용법 확인
.\LECmd.exe -h
(4) 아까 추출한 파일 확인
.\LECmd.exe -f {바로가기 파일}
* target : 원본 파일
* Source : 바로가기 파일
.
.
.
바로가기 파일에 대해 다양한 정보들을 알 수 있음
(1) FTK imager에서 아래 경로의 Recent 파일 추출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
(2) 쉘에서 실행
.\LECmd.exe -d .\Recent\
이렇게 하면 너무 많이 나와서... h 옵션 주자
저장 가능한 여러 옵션을 제공해줌
.\LECmd.exe -h .\Recent\
미리 lnk 파일에 save 파일 생성하고 전체 경로를 " " 안에 작성한다. (html 옵션 사용 조건)
.\LECmd.exe -d .\Recent\ --html "C:\Users\kimna\OneDrive\바탕 화면\lnk_\save"
아까 위에서 본 엄청 많은 파일들이 이런 식으로 정리됨 -> index.html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 가능 (타임스탬프, 볼륨 일련번호,..)
이번엔 csv형태로..
.\LECmd.exe -d .\Recent\ --csv "C:\Users\kimna\OneDrive\바탕 화면\lnk_\save"
워드로 열어주니.. 데이터가 깨져있어서 > 데이터 가져오기 (csv) 를 해주도록 한다.
Jumplist 개념 및 실습
점프리스트란?
• 최근 사용한 파일/폴더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구조
점프리스트 종류
• Automatic :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남기는 항목 (기본 어플리케이션... 따로 설치 필요 없음)
• Custom : 응용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항목 (대부분 설치 프로그램)
종류 구별하는 게 큰 의미는 없다고 함
경로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AutomaticDestinations
•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CustomDestinations
(1) FTK Imager 이용하여 추출
둘 다 recent 하위 폴더라 동시에 해준다.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AutomaticDestinations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CustomDestinations
(2) 프로그램 설치
JumpList Explorer 이용하여 분석
MDwiki
ericzimmerman.github.io
lnk 파일에 압축 해제
(3) 실행
File-> Load jump lists -> 아까 추출한 두 파일 안의 모든 파일 선택
아래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lnk파일들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함
사실은 Name의 경로가 중요함. (분석할 때 이걸 위주로...)
참고
3강자료.pdf
drive.google.com
'SWLUG > foren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포렌식] 8. 브라우저 아티팩트 개념 및 실습 (0) | 2024.05.18 |
---|---|
[디지털포렌식] 7. Prefetch, MUICache, AmCache&ShimCache (0) | 2024.05.18 |
[디지털포렌식] 5. $MTF, $LogFile, $UsnJrl 개념 및 실습 (0) | 2024.05.06 |
[디지털포렌식] 4(2). Windows registry 실습 (1) | 2024.04.28 |
[디지털포렌식] 4(1). Windows registry 이론 (0) | 2024.04.28 |